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관리

강아지 똥, 얼마나 자주 싸야 정상일까? 배변 완벽 정리

by Paw Story 2025. 4. 25.
반응형

 

안녕하세요. Paw Story입니다.

 

오늘은 강아지 똥, 정확히 말해 ‘강아지 배변 횟수와 정상 범위’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보호자라면 한 번쯤 “왜 이렇게 자주 싸지?” 하고 당황한 적이 있을 텐데요. 아래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릴 테니, 끝까지 읽고 우리 아이의 장 건강을 체크해보세요.

 

 

강아지 배변이 잦은 생리학적 이유


어린 강아지는 위·장의 길이가 짧고 소화 효소가 충분히 분비되지 않아 음식이 빠르게 통과합니다. 여기에 성장기 특유의 높은 대사율이 더해져 하루에 여러 번 배변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연령·체중별 정상 배변 횟수


 

생후 2주까지는 수유 직후마다 변을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3개월 무렵부터 서서히 줄어들어 6개월이면 하루 3회 안팎, 1년 이후 성견이 되면 하루 1~3회로 안착합니다. 다만 소형견은 대형견보다 자주 배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우리 강아지 평균’을 기준으로 판단하세요.

 

 

배변 횟수가 급증, 급감할 때 확인할 점


급증

- 사료·간식을 바꾼 직후인지, 최근 과식을 했는지, 기생충 약을 제때 복용했는지 먼저 점검합니다. 묽은 변이 24시간 이상 지속된다면 분변 검사를 통해 장염이나 기생충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급감

- 식욕은 그대로인데 변이 갑자기 적거나 끊어지면 장폐색부터 변비, 항문샘 문제까지 다양하게 의심할 수 있습니다. 힘주기·구토·무기력이 동반되면 즉시 동물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건강한 똥의 색과 형태


초콜릿색으로 잘 뭉쳐진 ‘부드러운 원통형’이 이상적입니다. 지나치게 묽거나 반대로 딱딱해 부서지면 식단(수분·섬유소)을 조정해 주세요. 붉거나 검은 피, 하얀 점액, 기생충(스파게티·쌀알 모양)이 보이면 곧바로 동물병원 방문 필요합나다.

 

 

동물병원 방문이 필요할 때


 

24시간 이상의 지속 설사·변비, 변 색 변화와 함께 식욕 저하·구토·무기력이 동반될 때, 또는 변에서 이물질이 반복적으로 확인될 때는 자가 대처보다 정확한 진단이 우선입니다. 변 상태를 사진으로 남겨 두면 상담에 도움이 됩니다ㅏ.

 

 

보호자 실천 방법 : 배변 일지


날짜·시간·횟수·모양을 간단히 기록하는 ‘배변 일지’는 장 건강의 조기 경보 시스템입니다. 저도 이 방법으로 사료 교체 후 설사를 빠르게 진정시킨 경험이 있습니다. 귀찮더라도 첫 1년만이라도 꾸준히 기록해보세요.

 

 

강아지의 배변 패턴은 성장과 함께 자연스럽게 변화합니다. ‘횟수’보다 ‘우리 아이에게 평소와 다른가’를 기준 삼아 관찰하면 건강 이상을 빠르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강아지 똥.png
0.03MB

 

 

반응형